2022.09.14 글로벌 철강 생산, 소비 비중 / 글로벌 정련 아연 생산 국가
[이베스트 안회수] 철강 저평가 아래 숨겨둔 체력과 신사업

국내 철강 기업 주가는 중국 철강 가격을 추종한다. 중국은 글로벌 철강 수요 공급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국내 철강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철강 가격은 원재료가를 기본적으로 반영하고, 수급과 시황에 따라 추가 변동폭이 결정되는 매우 민감한 지표이다.

- 수요가 좋아 철강 가격이 오를 때는 원재료가 상승 분보다 더 크게 상승할 때가 많다. 둘째, 고정비 레버리지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 철강 산업은 설비규모가 크고 감가상각비도 큰 산업이다. 따라서 제품 ASP와 원재료비 변동폭이 비슷해 롤마진 개선이 없다 하더라도 제품ASP가 상승하면 철강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철강 기업들의 주가가 철강 가격을 선반영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 2Q22 이후, 철강 가격은 시황 부진과 원재료가 하락을 반영하며 하락 싸이클을 지나고 있다

- 제품 ASP는 지난 10년 수준보다 높은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다. 그래서 2023년까지 판가 하락이 지속된다고 가정하더라도 이익률을 방어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

- 여기에 중국 시황 회복과 함께 철강 가격 반등이 시작되면, 철강 기업들의 이익은 다시 급증할 수 있다. 철강 가격 하락 방어 및 반등 가능성은 원재료 가격, 공급, 수요 상황에 의해 설명된다.

관련 목록
철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