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봐
모아봐
  • 커뮤니티
    • 전체
    • 클리앙
    • 82cook
    • 오유
    • 뽐뿌
    • etoland
    • 웃대
    • 개드립
    • 보배
    • 딴지
    • 엠팍
    • 루리웹
    • 가생이
  • SCRAP
  • 주식/부동산
  • 실적정보
  • 목표가 상향/하향 종목
  • 기업별 수주잔고
  • 종목 반등강도
  • 경제캘린더
  • 가격/정보
    • 국가통계포털
    • 원자재가격정보
    • 광물가격
    • 곡물가격동향
    • 국제곡물정보
    • 관광입국/출국자수
    • 제주관광통계
    • 폐지골판지가격
    • 제지산업월별수급
    • 열연가격
    • 조강생산량
    • 탱커운임지수
    • 건설경기지표
    • 유튜브순위
  • 환율차트
    • 달러인덱스
    • OITP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화
    • 달러/위안
    • 달러/원
  • 상품시장
    • 금
    • 은
    • 구리
    • 원유(WTI)
    • 정제마진
    • DRAMexchange
    • 폴리실리콘
  • 시장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탐욕지수
    • CDS프리미엄
    • 미국장단기금리차
    • 미국은행 예금잔액/대출잔액
    • 하이일드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미국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GDP-Based Recession Indicator Index
  • 세계금리
    • 미국10년채권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독일10년채권
    • 일본10년채권
    • 한국3년 채권수익률
    • 세계국채수익률
    • 국가별기준금리
    • 미국정크본드 ETF
  • 참고경제지표
    • BDI 지수(발틱운임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
    • 국가별신용등급
    • 달러인덱스와 중국 외환보유고(금 제외)
  • 미국경제지표
    • M1통화
    • M2통화
    • 미국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기업이익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기업재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실업률
    • 생산자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 상승률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 미국 원유 생산량
  • 중국경제지표
    • 중국M1통화
    • 중국M2통화
    • 중국 인플레이션
    • 중국 차이신PMI
    • 중국 제조업PMI
    • 중국 생산자가격
    • 중국 주택지수
    • 중국 GDP대비 정부부채
  • 한국경제지표
    • 한국M1통화
    • 한국 인플레이션
    • 한국 수출증가율
    • 한국 주택가격지수
    • 한국/미국 대형주지수 상대강도
    • 국가별수출
    • 한국 GDP대비 정부부채
    홈 커뮤니티 주식 실적정보 밸류체인 수주잔고 부동산

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절대 가격은 바닥을 다지는 구간, 실적 회복은 시간 필요
[삼성증권 백재승] 철강/비철금속 [2024.01.10]






철강 2Q23 Preview
[이베스트증권 안회수] [2023.07.04]






2023년보다 낮아질 2024년 철강 수요 증가
[신한투자증권 박광래,최민우] 철강금속 : 하반기와 24년 이후에 대한 고민 [2023.06.29]




터키 철강생산과 수출 차질에 따른 터키향 봉형강 청강 수출 증가 가능성
[하나증권 박성봉] 철강금속 weekly [2023.02.20]




현대제철
[대신증권 이태환] 현대제철 : 삼재를 만났다 [2023.01.05]




철강 23년 하반기 부터 가격 회복 전망
[이베스트증권 안회수] 2023 년, Get Ready with 철강금속 [2022.12.15]




글로벌 철강 순수입국 / 미국과 중국의 인프라 정책
[이베스트증권 안회수] 2023 년, Get Ready with 철강금속 [2022.12.15]




철강 제품과 설명 : 열연, 후판, 냉연, 컬러강판등
[유진투자증권 이유진] 철강/원자재 : 철강산업의 Metamorphosis [2022.11.28]


국내 철강 산업 생태계
[유진투자증권 이유진] 철강/원자재 : 철강산업의 Metamorphosis [2022.11.28]


준비된 철강 업체의 기회 : POSCO홀딩스, 현대제철, 세아베스틸지주, 세아제강
[유진투자증권 이유진] 철강/원자재 : 철강산업의 Metamorphosis [2022.11.28]






조강 생산 방식 / 수소환원제철과 일반 고로 환원 반응 차이
[유진투자증권 이유진] 철강/원자재 : 철강산업의 Metamorphosis [2022.11.28]




신재생 인프라 관련 철강재
[유진투자증권 이유진] 철강/원자재 : 철강산업의 Metamorphosis [2022.11.28]




판재류의 공급 부족 가능성 높아, 한국 업체에 기회될 것
[유진투자증권 이유진] 철강/원자재 : 철강산업의 Metamorphosis [2022.11.28]




중국 철강 수요 증감률 / 중국 수요 산업별 철강 소비량: 높은 건설 비중
[유진투자증권 이유진] 철강/원자재 : 철강산업의 Metamorphosis [2022.11.28]
    • 1
    • 2
    • 3
    • 4
    • 5
    • >

‹ › ×
    webnuri7@gmail.com Moabbs 2018

    터키 철강생산과 수출 차질에 따른 터키향 봉형강 청강 수출 증가 가능성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211071445075760106061

    현대제철, 봉형강 수요위축 '대형수주'로 뚫는다(2022..11..07)


    현대제철은 판재류의 경우 물량의 대부분을 직접 공급하지만 봉형강류는 절반가량을 유통사를 통해 판매한다. 앞으로는 봉형강사업에서 대형 수주에 더욱 집중하겠다는 사업전략을 내놨다. 유통 물량의 비중을 줄여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4분기 현대제철은 고로사업과 전기로사업의 수익성이 엇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고로사업의 경우는 3분기 낮은 가격으로 확보한 철광석으로 생산한 철강제품의 판매가 본격화하면서 롤마진이 개선된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실제 현대제철은 봉형강 유통시장에서 동국제강 및 중견 제강사들과 경쟁을 완화하기 위해 최근 5개년 동안 유통 비중을 지속적으로 낮춰 오는 모습을 보였다.

    봉형강은 현대제철의 사업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출 기준으로 2018년 32.6%에서 2022년 상반기 37.7%로 꾸준히 커지고 있다. 이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는 것은 현대제철의 전체 실적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글로벌 철강 순수입국 / 미국과 중국의 인프라 정책

    1) 바이든 정부는 기업보조금 같은 직접적인 재정투입을 다수 발표(예시: American Battery Initiative, $2.8B)했으며, 무형자산(디지털인프라, 연구지원, 차세대인력)보다 유형자산(플랜트, 광물) 투자를 더 요구하고 있다. 또한 3Q22 실적발표에서 미국 철강 기업들은 수주잔고가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임을 언급한 바 있다.


    2) 중국은 2020년 이후 철강 산업 고도화에 대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2022년에도 철강사들의 M&A는 지속되고 마진을 못 내는 중소형 철강사들은 퇴출되었다. 저가의 중국 철강 수출이 감소함에 따라 한국 철강은 저가 경쟁 유인이 축소되었다.


    3) IRA법안은 ‘국내산 재료요건 규정’으로 자국산 철강 사용을 유도하고 있으나 미국은 여전히 거대한 철강 순수입국이다. 이에 일부 예외 조건과 우방국의 의견 수렴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더불어 중국산 철강에 대한 규제 흐름 속에 국내 철강기업들은 고부가/친환경 제품 포트폴리오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조강 생산 방식 / 수소환원제철과 일반 고로 환원 반응 차이

    대형 철강업체들은 탄소 중립 생산 방식에 투자 중 


    글로벌 철강 생산 업체들은 생산 공정 중 탄소를 절감하는 투자도 하고 있지만, 원천적으로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혁신 기술을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생산 공정 상 탄소를 절감하는 데에는 한계에 다다른 수준이기 때문에 생산공정을 변환 해야할 필요가 있다. POSCO 홀딩스는 HyREX 를 통한 수소환원제철을, 현대제철은 Hycube 를 통해 DRI, 용선, 스크랩등을 투입하여 전기로에서 탄소 감축을 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이다. 


    POSCO 홀딩스는 수소환원제철 데모플랜트 설계에 들어간 상황이며, 스웨덴 철강사인 SSAB 와 공동기술 개발을 발표했다. 현대제철도 수소환원제철을 고려하고는 있지만, 아직은 연구단계에 있다.

    중국 철강 수요 증감률 / 중국 수요 산업별 철강 소비량: 높은 건설 비중

    중국의 철강시장에 대한 글로벌 영향력은 점차 축소될 것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2021 년 코로나 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부동산 대출규제로 인한 개발자들의 자금난으로 인해 수요가 위축되면서 중국의 철강 수요는 9.5 억톤(-5.4%yoy)을 기록했고, 2022 년에도 부동산 냉각 여파의 지속과 실물경제지표의 부진 등 경기 하방 여파로 전년비 4 천만톤 감소한 9.1 억톤(-4.0%)을 기록할 전망이다. 2023 년 중국 철강 수요는 인프라 부양안으로 하방이 지지되어 9.1 억톤(0%yoy)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부동산 침체를 막기 위한 부양책을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과거 건설/부동산을 통한 전통적인 경기 부양안보다는 산업의 질적 성장과 관련된 투자 중심으로 경기를 부양할 것으로 전망한다. 따라서 철강 수요는 과거 대비 둔화될 것이나, 철강 공급단에서의 구조 개혁이 진행되므로 과거와 같은 중국의 공급 교란자 역할이 축소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