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18.04.10
원산지에 따른 철광석 품위
[이베스트증권 정하늘] 수요타고 꽃길 가볼까

2015년 기준, 중국의 철광석 명목소비량 (생산+수입-수출)은 10.8억톤 , 수입량은 9.5 억톤 수준이다. 중국의 철광석 매장량은 약 460억톤 (2012 년 기준)으로 글로벌 4위 규모이다. 이는 글로벌 매장량의 약 8%( 금속량 기준) 로 적지 않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양의 철광석을 수입하 는 것은 바로 중국에 매장된 철광석의 낮은 철 함량(중국산 철광석 품위 평균 31%) 때문 이다.
중국산 철광석의 철 함량은 31 % 수준으로 63 ~65% 수준인 수입산 호주, 브라질에 비해 품위가 크게 떨어진다. 저품위 철광석은 에너지 소비량이 많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중국의 환경보호 정책 강화를 고려할 때, 중국 내의 활용도는 높아지기 어렵다 . 결국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고품위 철광석 수입이 지속될 수 밖에 없다
관련 목록
철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