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4.05.20
이제 알루미늄에 관심 가질 차례
[대신증권 최진영] 유동성과 라니냐의 향연, 다시 원자재와 함께 춤을



결국 이번 제재 조치는 알루미늄을 비롯한 산업금속 가격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지역간 프리미엄의 격차만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한다. Rusal 측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고객들이 유럽과 미국을 완전히 대체할 것이라 전했다. 이는 유럽유럽/미국 지역의 현물 프리미엄의 추가 상승이자 아시아 지역 의 프리미엄 안정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산 알루미늄에 대한 바이든 미 대통령 의 관세 인상(7.5% 25.0%) 지시는 지역간 프리미엄 격차를 한층 더 심화시킬 부분이다. 올해 산업금속 가격의 방향은 낙관적이다. 다만, 위 사항을 고려했을 때 러시아에 대한 제재 영향은 상승 요인에서 제외되어야 할 부분이다. 현물 프리미엄의 차별화가 전개되는 상황에서 제재로 인한 수급 영향은 부재하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관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