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1.07.09
아파트 분양 급증으로 국내 철근 수요는 장기적인 우상향 / 국내산 철근은 대부분 국내에서 소비
[신한금융투자 김현욱, 강윤구] 철근 유통가 우려의 진실


국내 철근은 국내 대형 6 개사에서 주로 공급된다. 지난해 대한제강과 YK 스틸이 합병되면서 실질적인 주요 공급자가 7 개에서 6개로 줄었다. 철근은 대부분 국내 아파트 건설에 사용되는데 수출입 물량이 타 강종 대비 매우 적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철근은 1% 미만만이 수출되어 왔다. 이미 국내에서 생산되는 철근은 모두 국내에서 소화되고 있는 것이다.
2016 년 내수 시장의 11% 를 차지하던 수입 물량은 2020년 5%로 축소됐다. 중국 수입이 2016 년 최대 116 만톤에서 2020 년 24 만톤으로 크게 감소한 영향이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물량 자체도 전방 수요 악화로 2017 년 1,130 만톤에서 2020 년 940 만톤으로 감소했다.
과거 2017년 이전까지 중국 철근은 국내보다 낮은 가격으로 국내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하지만 2016년 하반기 말부터 중국 가격이 상승하면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다. 그 결과 2017년부터 중국 철근 수입이 줄었고 지난 3년 동안 연간 50만톤 미만의 적은 수입을 기록했다. 최근 국내 유통가가 급등한 반면 중국 유통가는 정부의 원자재 가격 대응으로 하락하면서 유통가 비교에서는 역전됐으나 고시가와는 여전히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에 단순가격만 비교하더라도 여전히 수입이 증가할 가능성은 낮다.
관련 목록
철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