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18.04.10
2015년 기준, 철광석 생산량,수출량 순위 / 2015년 기준, 철광석 수입량, 소비량 순위
[이베스트증권 정하늘] 수요타고 꽃길 가볼까


철광석은 다른 원재료에 비해 상위 광산의 산업집중도가 높다. 이에 따라 메이저 광산업체들은 생산량 조절을 통해 글로벌 철광석 가격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높다. 글로벌 철광석 가격은 실제 생산량보다는 수출량에 의해 결정된다 . 개별 국가의 자급 물량은 글로벌 가격을 협상하는데 반영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 인도와 중국 등 국가의 생산량은 글로벌 철광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미하다
세계 최대 철광석 수출국은 호주와 브라질이다. 2015년 기준, 호주와 브라질산의 철광석 비중은 77.8%에 달한다. 2008 년 호주와 브라질의 철광석 수출비중은 각각 33.5%와 30.6%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호주의 철광석 수출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2016년에는 각각 54.0% 과 23.6%로 그 격차가 확대되었다. 한편 글로벌 철광석 수입량 중 중국 비중은 2015년 65.1% 에 달하며, 그 중 호주산 철광석은 62% 에 달한다. 결국 글로벌 철광석 수급에서 공급은 호주, 수요는 중국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이다.
관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