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8 한국 철강업종의 변수는 1) 원료가격, 2) 중국 철강재 가격, 3) 중국 공급량
[유진투자증권 이유진] 철강/원자재 : 철강산업의 Metamorphosis

정리하자면 한국 철강 업종의 실적과 주가는 1) 원료 가격, 2) 중국 철강재 가격, 3) 중국 공급량이 변수로 작동했다. 각 시기별 철강업종의 실적과 주가를 설명하는 지표, 그리고 성장 방식이 모두 달랐던 이유는 세계 경제의 국면과 각 국가의 발전 속도에 따라 수요가 함께 변화하는 씨클리컬의 업종의 특성 때문이다. 쉽게 켜고 끌 수 없는 장치산업의 특성상 철강기업들은 경기 변동에도 불구하고 생산을 크게 변화시킬 수 없다. 따라서 실적도 마찬가지로 세계 경제 국면, 철강재 수급 상황에 따라 변동했다. 중국의 과잉 공급이 본격화되기 이전에는 내수 수요와 중국과 신흥국 등의 철강재 수요만으로도 꾸준하게 이익을 창출할 수 있었고, 원료 가격에 따라 철강 업종의 주가가 변동했다. 중국이 과잉 생산한 물량이 전세계로 대량 수출되면서 한국 철강사들은 중국의 저가 철강재와 경쟁하기 시작했다. 중국 공급 과잉이 본격화 된 이후 국내 철강 업종의 주가는 원가보다 중국 열연 가격과 더 많은 상관관계를 갖게 되었다.

관련 목록
철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