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전기차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강재는 전기강판이다. 구동모터 등에 사용되는 전기강판의 대당 사용량은 내연기관차 6kg에서 전기차 85kg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철강업체들이 전기강판의 고도화 및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는 배경이다.
POSCO는 전기모터에 적용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NO)의 성능을 개선하여 철손값(철심의 면에서 손실되는 전력)을 3.5W/kg으로 낮췄다. 철손값이 낮아질수록 전기기기의 에너지 효율은 상승하고 배터리 1회 충전 시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본제철은 두께 0.35mm의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철손값을 2.1W/kg으로 낮추었으며 전기차 수요증가에 대응하여 2023년 상반기까지 1천억엔을 투자하여 전기강판 생산능력을 40% 확대하겠다고 발표하였다.아셀러미탈도 올해 초 프랑스에 위치한 전기강판 공장에 1,300만 유로를 투자하여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생산능력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전기강판(규소강판이라고도 함)은 두께가 얇을수록 철손이 감소하며 압연방향에 따라 방향성(GO,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과 무방향성 전기강판(NO, Non Oriented electrical steel)으로 나뉜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결정의 자기화 용이 방향과 압연 방향이 나란하게 만들어진 제품으로 철손값이 1.05W/kg 이하이면 High GO, 0.85W/kg 이하이면 Hyper GO로 분류된다. 주로 변압기, 리액터 등에 사용된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압연 방향과 기타 모든 방향에 균일한 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전기강판으로 6.0W/kg 이하이면 High NO, 3.5W/kg 이하이면 Hyper NO로 분류된다. 전기차의 구동모터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