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07.07
센서 제품별 주요기업 및 응용분야
[IBK투자증권 김태현, 이상현] 관절튼튼 로봇팔팔

국내 로봇 센서의 역량
로봇은 높은 정밀도와 다양한 환경에서 구동할 수 있는 안정성을 요구. 따라서 로봇의 성능은 액츄에이터의 인지 센서에 의해 좌우 되는 경우가 많음
센서 산업은 기술 진입 장벽이 높아 미국, EU, 일본이 세계 시장의 70%를 점유. 대표적으로는 텍사스인스트루먼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NXP, 인피니언, 마이크로칩, 보쉬, 아날로그 디바이스,퀄컴, 브로드컴 등이 대표적인 스마트 센서 기업으로 꼽힘
국내 센서 업체의 경우, 핵심부품인 센서 소자를 수입하여 조립생산하는 수준으로 첨단센서 개발역량이 취약한 편
센서 분야는 미국, 일본, 독일 순으로 최고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은 선진국대비 65% 정도의 기술수준을 보유. 소재 및 소자분야는 선진국대비 50%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음
관련 목록
로봇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