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봐
모아봐
  • 커뮤니티
    • 전체
    • 클리앙
    • 82cook
    • 오유
    • 뽐뿌
    • etoland
    • 웃대
    • 개드립
    • 보배
    • 딴지
    • 엠팍
    • 루리웹
    • 가생이
  • SCRAP
  • 주식/부동산
  • 실적정보
  • 목표가 상향/하향 종목
  • 기업별 수주잔고
  • 종목 반등강도
  • 경제캘린더
  • 가격/정보
    • 국가통계포털
    • 원자재가격정보
    • 광물가격
    • 곡물가격동향
    • 국제곡물정보
    • 관광입국/출국자수
    • 제주관광통계
    • 폐지골판지가격
    • 제지산업월별수급
    • 열연가격
    • 조강생산량
    • 탱커운임지수
    • 건설경기지표
    • 유튜브순위
  • 환율차트
    • 달러인덱스
    • OITP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화
    • 달러/위안
    • 달러/원
  • 상품시장
    • 금
    • 은
    • 구리
    • 원유(WTI)
    • 정제마진
    • DRAMexchange
    • 폴리실리콘
  • 시장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탐욕지수
    • CDS프리미엄
    • 미국장단기금리차
    • 미국은행 예금잔액/대출잔액
    • 하이일드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미국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GDP-Based Recession Indicator Index
  • 세계금리
    • 미국10년채권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독일10년채권
    • 일본10년채권
    • 한국3년 채권수익률
    • 세계국채수익률
    • 국가별기준금리
    • 미국정크본드 ETF
  • 참고경제지표
    • BDI 지수(발틱운임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
    • 국가별신용등급
    • 달러인덱스와 중국 외환보유고(금 제외)
  • 미국경제지표
    • M1통화
    • M2통화
    • 미국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기업이익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기업재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실업률
    • 생산자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 상승률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 미국 원유 생산량
  • 중국경제지표
    • 중국M1통화
    • 중국M2통화
    • 중국 인플레이션
    • 중국 차이신PMI
    • 중국 제조업PMI
    • 중국 생산자가격
    • 중국 주택지수
    • 중국 GDP대비 정부부채
  • 한국경제지표
    • 한국M1통화
    • 한국 인플레이션
    • 한국 수출증가율
    • 한국 주택가격지수
    • 한국/미국 대형주지수 상대강도
    • 국가별수출
    • 한국 GDP대비 정부부채
    홈 커뮤니티 주식 실적정보 밸류체인 수주잔고 부동산

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폴디드 카메라 구조

2023년 삼성전자와 애플은 고배율 줌 적용한 폴디드 줌 카메라의 확대, 신규로 채택 


- 2023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특징은 고배율 줌(zoom : 피사체를 확대) 성능을 강화한 폴디드(Folded) 줌 카메라의 채택, 확대로 판단

- 이미 삼성전자는 2020년 갤럭시S시리즈 중 울트라 모델에 처음으로 적용, 애플은 2023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아이폰15 (프로맥스)에 처음으로 폴디드 줌 카메라를 채택할 전망

- 스마트폰의 카메라 사양 및 성능 확대는 디지털 카메라의 프리미엄 영역인 DSLR 시장을 점차 대체하는 과정으로 해석. 폴디드 줌 카메라는 1) 원거리(멀리 있는) 사물을 당겨 찍는 역할인 망원렌즈를 기존에 세로가 아닌 가로로 설계, 잠망경처럼 빛의 굴절을 이용한 카메라를 의미 2) 고배율(광학 기준) 줌을 구현하면 카툭튀(카메라가 툭 튀어나옴) 현상이 발생, 이것을 최소화하는 구조의 카메라로 평가 3) 2022년 기준으로 삼성전자, 오포가 채택 중

- 2023년 삼성전자는 갤럭시S23 울트라 모델에 2억화소를 지원, 고배율 줌이 이전대비 확대된 폴디드 줌 카메라를 예상. 애플은 2022년 아이폰14에 메인 카메라 화소 수가 4,800만(종전 1200만)으로 상향 이후에 2023년 카메라 성능을 고배율 줌으로 확대 적용 추정. 폴디드줌 카메라는 이전 모델의 카메라 구조대비 새로운 형태, 기술을 필요로 하여 국내 부품업체에 의존할 것으로 분석

- 고배율 줌(폴디드 줌 카메라)은 OIS(액츄에이터, 손떨림부정부품)의 정밀성(신뢰성) 요구하는데 한국 부품업체가 중추척인 역할, 수혜을 예상. LG이노텍과 자화전자의 공급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추정

- LG이노텍은 트리플 및 48M급 메인 카메라를 주력으로 공급 동시에 2023년 폴디드 줌 카메라를 공급 예상, 또한 OIS를 내재화하여 추가적인 매출과 수익성 개선을 기대



폴디드 카메라 구조
[대신증권 박강호] 2023년 애플 최강의 카메라를 적용 [2022.11.23]

2022 지스타 출품 주요 신작 플랫폼 비중 / 국내 모바일, 콘솔 게임시장 연간 규모

지스타에서 관찰된 두번째 확장성은 콘솔로의 기기 확장이다. 지스타에서는 한동안 보기 힘들었던 PC/콘솔 게임들의 시연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그간 콘솔 시장을 외면하던 국내 게임사들이 콘솔 기기에도 눈길을 돌리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2010년대 중반 이후 국내 게임 시장 성장을 이끈 모바일 게임 시장 성장이 급격히 정체되기 시작함에 따라 공략 대상을 콘솔로 변경하고 있는 것이다. 23년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 성장률은 10%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콘솔은 20% 이상의 성장율을 보여줄 전망이다.콘솔 기대작을 들고 이번 지스타에 참여한 기업은 크래프톤과 네오위즈다. 크래프톤은 12/2일 출시 예정인 칼리스토 프로토콜을, 네오위즈는 23년 여름 출시하는 P의 거짓을 시연했다.


# 크래프톤

크래프톤은 지스타에서 칼리스토 프로토콜과 문브레이커를 시연했다.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일반인 대상 최초 시연이었는데 대기 시간이 1시간 반 이상이 걸릴 정도로 관심도가 높았다. 잔혹함의 수위가 높아 성인만 시연할 수 있던 점을 고려하면 지스타 최대 흥행작으로도 손색이 없었다.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12/2일 발매될 예정이며 정가는 10만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플레이타임은 12시간 수준이다. 트리플A급 작품에 대한 기대치를 충족 퀄리티를 갖춘 것으로 판단되며 고어물을 즐기는 글로벌 호러 매니아층에 흥행이 기대된다.


# 네오위즈

P의 거짓은 지스타 시연 작품 중 가장 긴 대기시간(2시간 이상)을 보여주며 글로벌뿐만 아니라 국내에도 대기 유저가 많음을 입증했다. 지난 8월 게임스컴에서는 P의 거짓으로 한국 게임사 최초로 3관왕을 수상하며 글로벌 기대감을 끌어올린 바 있다.P의 거짓은 23년 여름 발매될 예정이며 가격은 일반적인 콘솔 작품들보다는 저렴한 5~6만원 수준이 예상된다. 플레이타임은 30시간 수준이며 멀티 엔딩이 존재해 60시간 이상의 플레이 컨텐츠를 갖추었다. 범용적인 IP의 활용, 저렴한 가격대를 생각할 때 일반 유저층에 대한 흥행이 예상된다.





2022 지스타 출품 주요 신작 플랫폼 비중 / 국내 모바일, 콘솔 게임시장 연간 규모
[미래에셋증권 임희석] 게임 : 불어오는 변화의 바람(feat 지스타) [2022.11.23]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연간 인건비 추이

게임사들의 이번 3분기 실적발표에서도 인건비 증가세의 둔화와 비용 효율화 노력에 대한 강력한 의지 표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건비에서 엔씨소프트는 3개 분기 연속 QoQ 감소, 카카오게임즈와 펄어비스는 4개 분기만의 QoQ 감소, 위메이드는 9개 분기만의 QoQ 감소를 기록했다. 넷마블은 전분기대비 인건비가 증가하긴 했으나 잼시티 구조조정에 따른 퇴직자 위로금이 집행된 영향이 존재했다. 인건비 효율적 집행에 대한 의지 표명을 볼 때 내년 인건비 상승세는 큰 폭으로 둔화될 전망이다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연간 인건비 추이
[미래에셋증권 임희석] 게임 : 불어오는 변화의 바람(feat 지스타) [2022.11.23]


2022 지스타 주요 신작
[미래에셋증권 임희석] 게임 : 불어오는 변화의 바람(feat 지스타) [2022.11.23]




자율주행 핵심기술 / 자율주행차 핵심기술 요소
[대신증권 김영일, 박세라] 자율주행 비즈니스 [2022.11.23]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향상된 운전자 보조 시스템
[대신증권 김영일, 박세라] 자율주행 비즈니스 [2022.11.23]

LNG 가치사슬 정리 - FLNG, FSRU

공급충격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에서 웃을 수 있는 업체들은 결국 에너지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이른바 에너지 상류 upstream) 기업들이다 한국에는 에너지 상류부문 에 해당하는 기업체들이 소수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전통적으로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조선 사주를 에너지 상류기업의 대안으로 인식해왔다 이 는 조선사들의 사업이 에너지 생산하고 , 수송에 깊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 해양구조물은 에너지의 개발과 생산에 사용되며 유조선, LNG 선, LPG선, 그리고 벌크선은 에너지를 수송하 는 장비이다.


실제로 2022년 대규모 LNG선 발주도 본질적으로는 에너지 부문 공급충격의 결과물이다 러시아에서 공급되는 천연가스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유럽은 천연가스 조달처를 다변화해야 할 유인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에너지 업계는 현재 진행중이거나 계획된 LNG 프로젝트 들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한적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고 결국 대량의 LNG선 발주로 이어 졌다.


반면 에너지 가격 고공행진에도 2022년 국내 조선사들의 해양구조물 수주는 미미한 수준이다 올해 현재까지 국내 대형 조선사들의 해양구조물 수주는 5 억 달러 수준에 불과하다 지난해 연간 수주 금액 40.6 억 달러 대비 오히려 크게 감소 한 것이다 . 하지만 2023 년에는 해양 구조물분야에서 개선된 수주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 구조물 수주는 선박과 달리 오히려 기저효과를 누릴 수 있는 상황이다





LNG 가치사슬 정리 - FLNG, FSRU
[삼성증권 한영수] 조선 : 아직 보여줄 것이 남은 조선산업 [2022.11.23]


석유화학 밸류체인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지역별 차별화 간극 메우기 [2022.11.22]


석유화학 제품 개요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지역별 차별화 간극 메우기 [2022.11.22]

여전히 큰 중국의 영향력 - 중국은 글로벌 합성수지 수요의 42% 차지

중국의 경기가 글로벌 석유화학 시장과 동북아시아 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다. 글로벌 합성수지 수요 중 중국의 비중은 2000년 16%에서, 2010년 31%, 2021년에는 42%까지 상승했고, 2002~2021년 글로벌 합성수지 수요 증가량의 63%를 중국이 차지했다.


권역을 동북아 역내로 좁히면 중국의 비중은 88%로 수요 측면에서의 영향력이 훨씬 크다. 2021년 기준 국내에서 생산된 석유화학 제품 수출량에서 중국향 비중은 에틸렌 85%, HDPE와 LDPE는 54%, 석유화학 제품 전반으로는 약 50%에 달한다. 중장기적으로 중국의 자급률이 높아지고 있는 점은 우려 요인이지만, 여전히 중국은 가장 중요한 수요처다.





여전히 큰 중국의 영향력 - 중국은 글로벌 합성수지 수요의 42% 차지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지역별 차별화 간극 메우기 [2022.11.22]

동북아시아 에틸렌 증설 약 200만톤 - 동북아시아의 여건은 상대적으로 양호

2021년부터 동북아 역내 수급 상황은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중국의 대규모 증설에 기인한다. 중국의 에틸렌 증설 물량은 2022년 628만톤으로, 글로벌 총 에틸렌 증설 물량의 55%, 동북아시아(중국, 한국, 일본, 대만) 역내 에틸렌 증설 물량의 92%에 달한다. 이로 인해 2022년 동북아 역내 공급은 9.6% 증가하는 반면, 수요는 1.6%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2022년 동북아시아 역내 중국발 증설이 유발한 공급 과잉은 2023년 중국의 수요 개선으로 완화될 전망이다. 2023년 중국의 증설 물량이 전년 대비 크게 줄어드는 가운데, 수요는 연내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등으로 점차 증가하며,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Platts에 따르면 2023년에는 동북아 역내 에틸렌 생산능력이 전년 대비 2.5%(196만톤) 증가하는 반면, 역내 수요는 전년 대비 5.9%(328만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북아시아 에틸렌 증설 약 200만톤 - 동북아시아의 여건은 상대적으로 양호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지역별 차별화 간극 메우기 [2022.11.22]

2023년 글로벌 에틸렌 증설 물량 910만톤 / 2023년 가동률

2023년 글로벌 수급 밸런스의 유의미한 개선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 


2022년 글로벌 석유화학 수급 상황은 악화되고 있다. 석유화학 제품 중 대표적인 기초유분인 에틸렌의 2022년 글로벌 수요는 1억7,628만톤으로 2021년 대비 2.2%(378만톤) 증가하는데 그칠 전망이다. 반면, 생산능력은 2억2,682만톤으로 2021년 대비 5.3%(1,145만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글로벌 에틸렌 수요는 1억8,414만톤으로 전년 대비 4.5%(786만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능력은 2억3,592만톤으로 전년 대비 4.0%(910만톤) 증가 할 전망이다. 증설 물량이 2022년 1,145만톤에서, 2023년 910만톤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수요 증가량은 2022년 378만톤에서 2023년 786만톤으로 증가함에 따라 2023년 수급 밸런스는 전년 대비 나빠지지는 않을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미국과 유럽 등의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으로 인해 글로벌 전반으로는 석유화학 시황에서 의미 있는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2023년 글로벌 에틸렌 증설 물량 910만톤 / 2023년 가동률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지역별 차별화 간극 메우기 [2022.11.22]

엔켐 전해액 - 리튬염 가격 안정화로 안정적 수익 구조 확보 기대

① 리튬염 가격 안정화로 안정적 수익 구조 확보 기대

② 엔켐 전해액 생산능력 2022년 9.5만톤,2023년 25.5만톤, 2024년 74.5만톤(유럽8만톤, 중국38만톤, 미국24만톤 등)으로 증가 전망

③ 전해액은 Localization이 필수인 품목으로 미국시장에서는 중국업체들이 과점했던 점유율(중국기업MS57%)을 한국 전해액 업체들이 가져올 것으로 예상

④ 2025년 미국에 지어지는 한국셀 3사의 배터리Capa는400GWh에 달할것으로 전망함.따라서 필요 전해액공장은 40만톤 이상


리튬가격급등에 따라 전해액의 주원재료인 LiPF6가격도 2022년초 60만위안/톤까지 6배가량 급등했다가 하반기들어 30만위안 수준에서 거래중.리튬염 가격 급등 때 가격전가가 원활히 안되며,최근1년간 영업적자를 기록하다가, 3분기 8.1%의 영업이익률로 흑자전환 성공 



엔켐 전해액 - 리튬염 가격 안정화로 안정적 수익 구조 확보 기대
[SK증권 윤혁진, 박한샘] 배터리윤의 배터리 Insight [2022.11.22]

국내 동박 3사 생산능력 비교

동박(음극집전체): 전기료와 인건비가 원가 경쟁력의 핵심 


- 판가(기본적으로구리LME시세+ 가공비의구조)는고객사와 2~3개월 마다 협상, 가공비(T값)은 1년마다 협상하지만, 구리시세에 따라 조정

- 동박원가는 구리 60~70%, 전기료 10~15%, 인건비 5~10% 차지

- 전기의 안정적 공급 중요





국내 동박 3사 생산능력 비교
[SK증권 윤혁진, 박한샘] 배터리윤의 배터리 Insight [2022.11.22]
    • «
    • <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
    • »

‹ › ×
    webnuri7@gmail.com Moabb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