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봐
모아봐
  • 커뮤니티
    • 전체
    • 클리앙
    • 82cook
    • 오유
    • 뽐뿌
    • etoland
    • 웃대
    • 개드립
    • 보배
    • 딴지
    • 엠팍
    • 루리웹
    • 가생이
  • SCRAP
  • 주식/부동산
  • 실적정보
  • 목표가 상향/하향 종목
  • 기업별 수주잔고
  • 종목 반등강도
  • 경제캘린더
  • 가격/정보
    • 국가통계포털
    • 원자재가격정보
    • 광물가격
    • 곡물가격동향
    • 국제곡물정보
    • 관광입국/출국자수
    • 제주관광통계
    • 폐지골판지가격
    • 제지산업월별수급
    • 열연가격
    • 조강생산량
    • 탱커운임지수
    • 건설경기지표
    • 유튜브순위
  • 환율차트
    • 달러인덱스
    • OITP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화
    • 달러/위안
    • 달러/원
  • 상품시장
    • 금
    • 은
    • 구리
    • 원유(WTI)
    • 정제마진
    • DRAMexchange
    • 폴리실리콘
  • 시장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탐욕지수
    • CDS프리미엄
    • 미국장단기금리차
    • 미국은행 예금잔액/대출잔액
    • 하이일드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미국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GDP-Based Recession Indicator Index
  • 세계금리
    • 미국10년채권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독일10년채권
    • 일본10년채권
    • 한국3년 채권수익률
    • 세계국채수익률
    • 국가별기준금리
    • 미국정크본드 ETF
  • 참고경제지표
    • BDI 지수(발틱운임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
    • 국가별신용등급
    • 달러인덱스와 중국 외환보유고(금 제외)
  • 미국경제지표
    • M1통화
    • M2통화
    • 미국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기업이익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기업재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실업률
    • 생산자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 상승률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 미국 원유 생산량
  • 중국경제지표
    • 중국M1통화
    • 중국M2통화
    • 중국 인플레이션
    • 중국 차이신PMI
    • 중국 제조업PMI
    • 중국 생산자가격
    • 중국 주택지수
    • 중국 GDP대비 정부부채
  • 한국경제지표
    • 한국M1통화
    • 한국 인플레이션
    • 한국 수출증가율
    • 한국 주택가격지수
    • 한국/미국 대형주지수 상대강도
    • 국가별수출
    • 한국 GDP대비 정부부채
    홈 커뮤니티 주식 실적정보 밸류체인 수주잔고 부동산

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이오테크닉스 : 신규 장비 기대감 유효
[하나증권 김록호] 이오테크닉스 : 신규 장비 기대감 유효 [2023.02.09]

현대모비스, SNT모티브, 에스엘

SNT모티브 투자포인트


1. 고객사의 파생전기차 배터리 리콜 이슈 이후 생산 재개 및 급증 전망


파생전기차인 코나 EV와 GM Bolt EUV는 배터리 화재 및 리콜로 판매 급감을 겪었음 2 세대 코나 EV는 2023년 하반기 출시로 연간 10만대 판매 예상 기아 니로 EV와 합산 시 파생전기차 판매는 2022 년 7.8만대 2024년 16~18 만대 예상.

Bolt EUV는 2021년 9월 ~ 2022년 3월에 생산 중단하였다가 2022년 4월 생산 재개 Bolt EV와 EUV 판매는 2022 년 3.8만 대 2023년 7만 대 2024 년 10만대 판매 예상


2. 현대차 기아 하이브리드 판매 증가 


Legacy 완성차 업체는 전기차 전환 과정에서 기존내연기관차 모델은 하이브리드를 거쳐서 전환할 예정 2030년 글로벌 신차 수요의 내연기관차 비중 50 ~60%의 의미는 대부분 하이브리드를 의미.

현대차 기아의 내연기관차는 하이브리드 트림을 보유 2022 년 현대차 하이브리드 판매는 35.6 만대(+38%)로 글로벌 판매의 9% 비중 기아 하이브리드 판매는 25.2 만대 (+78%)로 글로벌 판매의 8.7% 비중 2025년 이후에는 제네시스가 100% 전동화 모델로 출시되면서 하이브리드 버전이 출시될 예정


3. 글로벌 완성차의 전기차 대량 생산 체제 구축 Value Chain 다변화 


전기차 전환을 빠르게 추진 중인 VW, 현대차그룹 GM, F ord 는 2025년 2026년에 전기차 2백만대 생산 체제 구축 계획 전기차 생산 대수가 50 만 대 이상을 넘어가면서 소싱 업체 다변화는 당연한 수순 현대차 기아의 2023년 전기차 BEV) 판매 목표는 57만대 현대모비스가 100% 독점하던 배터리 관련 부품은 이미 소싱 다변화가 시작되었으며 구동 모터도 소싱 다변화 예상


SNT 모티브는 전동화 부품 2 nd vendor 로서 , 하이브리드 시동 모터 전기차 구동 모터 전기차 Electric Oil Pump 대량 생산 레퍼런스 보유 완성차의 소싱 다변화 과정에서 추가 수주 가능성 높음 SNT 모티브는 3Q 22말 기준 순현금 3,405억원 및 부채비율 42%로, 설비 투자 및 해외 진출이 가능한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음



에스엘 2023년 전망


매출액 5 조원 (+20% YoY) 예상 : 현대차 기아의 글로벌 판매 +10% YoY 증가의 중심은 북미와 인도 전기차 판매 목표는 38 만 대 58 만 대 에스엘은 현대차 기아의 미국 시장과 인도 시장에 동반 진출 업체이며 전기차 대부분에 LED 램프 납품 중 GM은 2022년 하반기부터 생산 회복 중이며 2024년 상반기까지 5개의 전기차 출시 예정


OP 2,700억원 (+36% YOY) 및 OPM 5.4% 예상 : 연단위로는 영업이익률 개선 추세 2018년 0.3% 2019 년 1.9% 2020 년 3.7% 2021 년 3.7% 2022 년 4.7%4.7%. 한국 (매출 비중 45%) 과 인도(매출 비중 14%) 는 10%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기록 중이나 매출 비중이 2 번째인 미국(비중 33%) 이 적자 지속으로 분기 실적 변동성 확대 2022년 북미 매출은 1.25 조원 (+80% YoY)으로 급성장 2022년 말 미국법인 경영진 교체를 통해 수익성 경영중심을 추진할 계획으로, 2023 년에는 미국법인 수익성 개선이 전체 수익성을 견인할 전망.


미국법인에 513 억원 증자 : 향후 3 년간 GM 에 8개 차종 램프 납품 예정 





현대모비스, SNT모티브, 에스엘
[삼성증권 임은영] 자동차부품 : Value Chain도 봐야 할 시기 고객사가 누구? [2023.02.08]

미국의 원유 증산 여력

미국의 증산은 현재 스탠스를 유지할 경우 시장 예상을 상회할 전망


최근 정치권의 횡재세 부과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행정부의 스탠스 변화가 눈에띈다. 환경문제로 무기한 중단되었던 알래스카 지역내 유정 개발을 일부나마 허용해주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고, 베네수엘라에 대한 규제 완화를 통해 미국과의 원유 수출입이 수년만에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등 정부의 에너지 물가 관리가 에너지 정책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앞서 언급했듯, 고금리에 따른 수요 불확실성과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 정책 불확실성 등이 셰일업체들의 과거와 같은 급격한 증산(트럼프 정부 당시, 정책 지원과 에너지 외교로 2년간 350만bpd 증산)을 제한하겠지만, BEP를 감안한가격 측면의 메리트와 러시아산 가격 상한제 도입으로 미국산 원유와 석유 제품 수요 증가기대가 미완공유정들의 완공(Completion)을 유지시킬 전망이다. 노후유정효과에 따른 생산 감소는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결국 중요한 것은 최대 생산 지역인 Permian 지역을 비롯한 주요 셰일분지들의 유정 완공수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리그수(투자)의 변화와 함께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금 시점에서 확실한 점은 현 수준의 완공유정수와 노후유정효과를 감안했을 때, 시장이 예상하는 수준의 미국내 증산은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이며 급격한 수요 감소에 따른 가격 하락이 발생하지 않는한 미국내 완만한 증산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 판단한다.









미국의 원유 증산 여력
[삼성선물 김광래] 미국의 증산 여력 점검 [2023.02.08]




S-Oil : 휘발유/항공유 수요 개선 전망
[IBK투자증권 이동욱] S-Oil : 수요 증가로 인한 중국의 수출 정책 변경 가능성 [2023.02.07]




한미반도체 : 인공지능에는 HBM이 필수
[NH투자증권 도현우] 한미반도체 : 인공지능에는 HBM이 필수 [2023.02.07]




자동차부품사 : 만도, 에스엘, 화신
[다올투자증권 유지웅] 자동차 : 부품사 매수시점 [2023.02.06]




의류OEM 수직계열화
[하이투자증권 박이경] 패션 : 분명한 방향성에 맞추는 TPO [2023.02.06]

OEM 업체들은 미국시장이 중요

매출 성장 바이어 보유 시 견고한 오더 가능성 


국내 OEM 업체들은 어떤 고객사를 두었는지에 따라 향방이 갈릴 전망이다. 성장하는 브랜드 업체를 바이어로 둔 OEM 업체는 전반적인 시장 침체에도 꾸준한 오더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영원무역, 스포츠웨어 브랜드 고객사로 보유 


영원무역은 스포츠웨어 브랜드 업체 룰루레몬과 컬럼비아, 노스페이스를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인기인 기능성 의류 오더가 확대되고 있다. 회계연도 기준 블룸버그 컨센서스 상 룰루레몬의 예상 매출 성장률은 14.7%, 컬럼비아 4.5%, 노스페이스 9%로, 스포츠웨어 시장 성장을 누리고 있는 브랜드 업체들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원무역은 이들의 오랜 파트너사로서 바이어 매출성장 수혜를 함께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OEM 업체들은 미국시장이 중요
[하이투자증권 박이경] 패션 : 분명한 방향성에 맞추는 TPO [2023.02.06]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 F&F / 신장 면화 사태에 따른 글로벌 브랜드 불매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 F&F 


이를테면 F&F는 중국 내 리오프닝에 따라 MLB 매장의 출점 및 내수 소비 회복에 따른 매출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오프라인 매장 영업이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F&F는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시현했다. 단기 유행 아이템 출시나 유명인 위주의 광고가 아닌, MLB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통한 매출 성장이라는 점이 긍정적이다. 


경기 회복에 따라 국내 면세, 수출 모두 회복 기대


패션 브랜드 업체와 관련해서 중국 내 리오프닝 효과를 1) 중국 내 소비 증가에 따른 대중국 의류 수출액 증가와 2)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 (중국인 인바운드) 회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8년 이후 중국인 인바운드와 수출액이 함께 증가한 경우는 전무하다. 중국인 인바운드 증가는 곧 국내 면세점 채널 회복을 의미한다. 팬데믹과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낮은 기저로, 국내 면세 매출 및 의류 수출액은 동시에 증가가 가능할 전망이다. 


신장 면화 사태에 따른 글로벌 브랜드 불매 


21년 초부터 불거진 중국 신장지역 면화 사태 이후 글로벌 브랜드 불매 운동이 벌어졌다. 이후 나이키, 아디다스 등 브랜드 업체들의 중화권 매출이 감소했다. 글로벌 브랜드들의 잇따른 신장 면화 사용 보이콧은 중국 내 ‘궈차오 (애국소비)’ 트렌드를 더욱 심화시켰다. 


국내 브랜드들은 궈차오 열풍의 수혜를 볼 수 있다는 판단이다. ‘궈차오’ 판단에는 단순히 자국 브랜드 여부가 아닌, ‘중국스타일’을 담았는지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궈차오 소비의 이유가 중국산 제품을 응원하기 위함이 아닌 디자인이라고 응답한 소비자가 눈에 띄게 많았다. 즉, 중국 소비자들이 좋아할 만한 디자인의 제품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궈차오 트렌드의 핵심으로, 국내 브랜드들의 디자인 능력이 돋보일 시기다. 


예컨대, F&F의 MLB는 중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인 모노그램 패턴을 적절히 사용하여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FILA는 오히려 자국 브랜드 안타스포츠 선호에 따른 반사이익을 얻었다. 중국 내 궈차오 현상은 신냉전 체제 아래 지속될 전망으로, 관련 국내 업체의 틈새 공략은 유효하다. 또 ‘차오파이 (潮牌, 트렌디한 브랜드)’ 인기 확산에 따른 국내 브랜드의 수혜가 가능하다. 







중국 리오프닝 수혜주, F&F / 신장 면화 사태에 따른 글로벌 브랜드 불매
[하이투자증권 박이경] 패션 : 분명한 방향성에 맞추는 TPO [2023.02.06]




KOSPI 섬유의복 지수 / 패션산업 밸류체인
[하이투자증권 박이경] 패션 : 분명한 방향성에 맞추는 TPO [2023.02.06]


국내 혁신 AI 기술 보유 기업
[키움증권 오현진,김학준,이한결,이원주] 챗GPT : 다가운 AI세상 [2023.02.03]




윤활유 : 든든한 버팀목 (윤활기유 강세)
[한화투자증권 윤용식] 정유/화학 : 결국은 공급과 수요 [2023.02.01]

등/경유 공급 부족은 2023 년에도 이어질 전망

2022년, 등/경유 중심의 마진 강세


2022년 하반기 이후 소비 둔화에 따른 조정에도 불구하고 ‘23년 1월 복합정제마진은 18.0$/b로 여전히 과거 호황기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등/경유 마진은 각각 38.3$/b,35.8$/b로 역대급 고마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휘발유 마진도 22.8$/b로 반등했다. 다만 납사 마진은 -8.7$/b로 저조한 화학 수요에 의해 상대적으로 부진하다.


원인: 1) 정유설비 부족 2) 러시아/중국의 수출 감소 3) 천연가스 강세로 인한 대체수요 발생


등/경유 강세의 주 원인은 2020년 이후 진행된 정유시설 폐쇄로 공급이 이미 줄었는데, 주요 수출국인 러시아에 대한 제재로 공급 불확실성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생산한 휘발유를 대부분 자가 소비하나, 경유 수출량은 120만b/d(2022년 12월 기준)에 달한다. 더불어 중국의 수출량 감소와 천연가스 강세로 발전/난방/산업용 석유 수요가 증가한 점도 2022년 등/경유 마진 강세에 기여했다.



2023년에도 등/경유를 중심으로 정제마진 강세는 유지될 전망이다. 2/5일 유럽의 러시아 석유제품 제재가 시행되면 타이트한 공급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등/경유 공급 부족은 2023 년에도 이어질 전망
[한화투자증권 윤용식] 정유/화학 : 결국은 공급과 수요 [2023.02.01]

2023년에도 이어질 천연가스 강세

3-1) 러시아의 PNG 수출 감소 


2022년 러시아의 천연가스 생산량은 YoY -12% 감소한 617Bcm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원인은 EU로 향하는 주요 가스 파이프라인 4개 중 2개가 가동 차질을 빚어 PNG 수출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22년 러시아의 유럽향 천연가스 수출량은 Nord Stream1(22.09)과 Yamal(22.05) 파이프라인 가동 중단으로 YoY -86Bcm 감소한 67Bcm을 기록했다. 현재 운영중인 Ukrain Transit과 Turkstream 파이프라인을 ‘22년 12월 수준(89Mcm/일)으로 가동한다고 가정시 ‘23년 러시아의 유럽향 수출량은 YoY -35Bcm 감소하게 된다. 러시아의 천연가스 생산/수출 감소는 2023년 천연가스 공급이 타이트하게 유지되는데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3-2) 중국의 LNG 수입 확대 


중국의 LNG 수입 확대 또한 2023년 천연가스 강세에 기여할 전망이다. ‘22년 중국의 LNG 수입량은 YoY -12Bcm 감소한 86Bcm에 그쳐 지난해 러시아의 공급 감소 일부를 상쇄했다.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 감소는 코로나19 확산 및 봉쇄조치 지속에 따라 산업활동이 위축된 결과로, ‘23년에는 중국 리오프닝 정책 효과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며 수입량 또한 ‘22년 대비 확대될 전망이다.







2023년에도 이어질 천연가스 강세
[한화투자증권 윤용식] 정유/화학 : 결국은 공급과 수요 [2023.02.01]
    • «
    • <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
    • »

‹ › ×
    webnuri7@gmail.com Moabb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