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봐
모아봐
  • 커뮤니티
    • 전체
    • 클리앙
    • 82cook
    • 오유
    • 뽐뿌
    • etoland
    • 웃대
    • 개드립
    • 보배
    • 딴지
    • 엠팍
    • 루리웹
    • 가생이
  • SCRAP
  • 주식/부동산
  • 실적정보
  • 목표가 상향/하향 종목
  • 기업별 수주잔고
  • 종목 반등강도
  • 경제캘린더
  • 가격/정보
    • 국가통계포털
    • 원자재가격정보
    • 광물가격
    • 곡물가격동향
    • 국제곡물정보
    • 관광입국/출국자수
    • 제주관광통계
    • 폐지골판지가격
    • 제지산업월별수급
    • 열연가격
    • 조강생산량
    • 탱커운임지수
    • 건설경기지표
    • 유튜브순위
  • 환율차트
    • 달러인덱스
    • OITP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화
    • 달러/위안
    • 달러/원
  • 상품시장
    • 금
    • 은
    • 구리
    • 원유(WTI)
    • 정제마진
    • DRAMexchange
    • 폴리실리콘
  • 시장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탐욕지수
    • CDS프리미엄
    • 미국장단기금리차
    • 미국은행 예금잔액/대출잔액
    • 하이일드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미국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GDP-Based Recession Indicator Index
  • 세계금리
    • 미국10년채권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독일10년채권
    • 일본10년채권
    • 한국3년 채권수익률
    • 세계국채수익률
    • 국가별기준금리
    • 미국정크본드 ETF
  • 참고경제지표
    • BDI 지수(발틱운임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
    • 국가별신용등급
    • 달러인덱스와 중국 외환보유고(금 제외)
  • 미국경제지표
    • M1통화
    • M2통화
    • 미국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기업이익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기업재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실업률
    • 생산자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 상승률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 미국 원유 생산량
  • 중국경제지표
    • 중국M1통화
    • 중국M2통화
    • 중국 인플레이션
    • 중국 차이신PMI
    • 중국 제조업PMI
    • 중국 생산자가격
    • 중국 주택지수
    • 중국 GDP대비 정부부채
  • 한국경제지표
    • 한국M1통화
    • 한국 인플레이션
    • 한국 수출증가율
    • 한국 주택가격지수
    • 한국/미국 대형주지수 상대강도
    • 국가별수출
    • 한국 GDP대비 정부부채
    홈 커뮤니티 주식 실적정보 밸류체인 수주잔고 부동산

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전력반도체 시장, 성장할 수 밖에 없는 이유 - 광범위한 전방, 전력 효율성 증대, 제품 편의
[신한금융투자 고영민, 최도연] 전력반도체, 전기차 타고 전력질주 [2021.10.05]


유일에너테크 피투자회사 재영텍(폐배터리)
[유일에너테크 IR] [2021.10.05]




젼력반도체의 분류 / 전력반도체 소자 기능 및 용도
[신한금융투자 고영민, 최도연] 전력반도체, 전기차 타고 전력질주 [2021.10.05]


전력반도체의 역할 및 분류
[신한금융투자 고영민, 최도연] 전력반도체, 전기차 타고 전력질주 [2021.10.05]

중국 PVC 공장 가동률 추이 / 중국 PVC 설비 현황

석탄 강세 → 석탄 기반 설비 제품의 생산 감소


중국 내 석탄 가격 급등은 전력난을 야기한 요인 중 하나이다. 중국의 환경 규제로 석탄 생산이 감소하고 겨울철 난방용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당분간 석탄 가격 강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중국 내 석탄 기반 설비 비중이 높은 제품 위주로 공급 감소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PVC/가성소다 강세 예상 → 한화솔루션 수혜


중국은 글로벌 PVC 생산의 42%를 차지하는 1위 생산국이며 생산 설비의 80%가 석탄 기반이다. ICIS에 따르면 175만톤의 PVC 설비가 환경 규제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파악됐으며 규모는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 PVC 가동률은 76%까지 하락했으며 이는 부산물인 가성소다(글로벌 생산의 44%) 생산량 감소로 이어졌다. 두 제품 모두 전방 수요가 견조함에 따라 공급 감소로 인한 수급 타이트는 심화될 전망이며 한화솔루션의 수혜가 예상된다.





중국 PVC 공장 가동률 추이 / 중국 PVC 설비 현황
[신한금융투자 이진명, 김현욱, 황어연, 박광래] 중국 전력공급난 영향 분석 [2021.10.01]




발전원별 중국 발전 비중 / 중국이 수입하는 전력용 연료탄 국가별 비중
[신한금융투자 이진명, 김현욱, 황어연, 박광래] 중국 전력공급난 영향 분석 [2021.10.01]


중국 전력공급난이 국내 중화학산업에 미치는 영향
[신한금융투자 이진명, 김현욱, 황어연, 박광래] 중국 전력공급난 영향 분석 [2021.10.01]

2020년 MCU 시장 점유율

전세계 자동차용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350억 달러로 생각보다 크지 않다. 전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가 4,730억 달러 정도이니 8%도 되지 않는다. 자동차 반도체 업계 상위 5개 회사가 전체 시장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과점이라고 보긴 어려우나, 꽤 많은 비중을 담당하고 있다. 이 중 자동차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MCU만을 기준으로 보면, 이 시장 규모는 173억 달러이며, 르네사스, NXP, 인피니언, STMicro 등 상위 4개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63%에 달한다. 


결과적으로, 자동차 반도체 시장은 규모가 크지 않아 이 업계의 전통적인 강자들이 시장을 꽉 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 올해 2월 텍사스 한파로 인해 NXP, 인피니언 공장이 가동을 중단하고, 3월 르네사스 공장이 화재로 인해 생산을 중단하자 전체 자동차 생산에 큰 차질이 빚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자동차 반도체 업계의 또 다른 문제는 구식 기술을 오랫동안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NXP는 전 생산라인이 모두 8인치 웨이퍼에 130나노 이상급이고, 인피니언은 일부 12인치 웨이퍼 라인을 보유하고 있지만 97%가 130나노 이상에서 생산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8인치 라인이 절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르네사스는 일부 Logic 칩과 메모리도 생산하고 있어 12인치 웨이퍼 라인 비중이 16%에 이르지만, MCU 등 대부분의 자동차 반도체는 8인치 라인에서 생산되고 있다. 추정컨대, 이들은 65나노 미만의 12인치 웨이퍼를 사용한 생산은 TSMC 등 파운드리 기업에 맡기고 있을 것이다.





2020년 MCU 시장 점유율
[한화투자증권 이순학, 이용욱] 언제 무엇부터 사야 할까 [2021.10.01]


Big Tech 기업들의 자체 반도체 개발 현황
[한화투자증권 이순학, 이용욱] 언제 무엇부터 사야 할까 [2021.10.01]


친환경 관련 비즈니스를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기업들
[KB증권 이은택, 김민규, 하인환] [2021.09.30]


화력발전 의존도가 높은 중국산 알루미늄
[NH투자증권 황병진] 4분기 원자재 투자 키워드, 전력난 [2021.09.30]


7월 OPEC+ 회의(석유 공급 정상화 예고) 이후 유가 상승 탄력 둔화
[NH투자증권 황병진] 4분기 원자재 투자 키워드, 전력난 [2021.09.30]


도심 내 자율주행 실현 위한 Edge-to-Cloud Computing
[메리츠증권 김준성] AI WAR [2021.09.28]

인공지능,에너지,네트워크 활용한 자율주행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

- Tesla 자율행동 인공지능 모델 강화 -> 상품성 개선 통해 차량 판매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

- 늘어날 차량의 더 효율적 사용 위해서는 기존의 시스템을 넘어서는 에너지, 네트워크 지원 필요

① 낮은 원가의 배터리 셀 기반 ESS, 인공지능 모델 기반 VPP -> 효율적 에너지 생산, 저장, 공급,사용 가능

② 저궤도 위성 간 레이저 네트워크 구축, 수 많은 차량 -> 클라우드 연결해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 이동 실현



인공지능,에너지,네트워크 활용한 자율주행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
[메리츠증권 김준성] AI WAR [2021.09.28]
    • «
    • <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
    • »

‹ › ×
    webnuri7@gmail.com Moabb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