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봐
모아봐
  • 커뮤니티
    • 전체
    • 클리앙
    • 82cook
    • 오유
    • 뽐뿌
    • etoland
    • 웃대
    • 개드립
    • 보배
    • 딴지
    • 엠팍
    • 루리웹
    • 가생이
  • SCRAP
  • 주식/부동산
  • 실적정보
  • 목표가 상향/하향 종목
  • 기업별 수주잔고
  • 종목 반등강도
  • 경제캘린더
  • 가격/정보
    • 국가통계포털
    • 원자재가격정보
    • 광물가격
    • 곡물가격동향
    • 국제곡물정보
    • 관광입국/출국자수
    • 제주관광통계
    • 폐지골판지가격
    • 제지산업월별수급
    • 열연가격
    • 조강생산량
    • 탱커운임지수
    • 건설경기지표
    • 유튜브순위
  • 환율차트
    • 달러인덱스
    • OITP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화
    • 달러/위안
    • 달러/원
  • 상품시장
    • 금
    • 은
    • 구리
    • 원유(WTI)
    • 정제마진
    • DRAMexchange
    • 폴리실리콘
  • 시장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탐욕지수
    • CDS프리미엄
    • 미국장단기금리차
    • 미국은행 예금잔액/대출잔액
    • 하이일드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미국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GDP-Based Recession Indicator Index
  • 세계금리
    • 미국10년채권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독일10년채권
    • 일본10년채권
    • 한국3년 채권수익률
    • 세계국채수익률
    • 국가별기준금리
    • 미국정크본드 ETF
  • 참고경제지표
    • BDI 지수(발틱운임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
    • 국가별신용등급
    • 달러인덱스와 중국 외환보유고(금 제외)
  • 미국경제지표
    • M1통화
    • M2통화
    • 미국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기업이익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기업재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실업률
    • 생산자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 상승률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 미국 원유 생산량
  • 중국경제지표
    • 중국M1통화
    • 중국M2통화
    • 중국 인플레이션
    • 중국 차이신PMI
    • 중국 제조업PMI
    • 중국 생산자가격
    • 중국 주택지수
    • 중국 GDP대비 정부부채
  • 한국경제지표
    • 한국M1통화
    • 한국 인플레이션
    • 한국 수출증가율
    • 한국 주택가격지수
    • 한국/미국 대형주지수 상대강도
    • 국가별수출
    • 한국 GDP대비 정부부채
    홈 커뮤니티 주식 실적정보 밸류체인 수주잔고 부동산

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자동차 시스템 별 ECU 시장 전망 및 시장 규모

자동차 시스템 별 기능 분류


1) 파워트레인(Powertrain) (모터, 컨버터, 인버터, 연료전지제어, 크루즈컨트롤, 트랜스미션 컨트롤, 배터리관리)

2) 샤시(Chassis) (ABS: Anti-lock Brake System 브레이크 잠김 방지 시스템,VSC: Vehicle Stability Control 회전 시 차체 자세 제어 장치)

3) 차체(Body) (HVAC 온도 제어, 파워시트, 윈도우 개폐, 차문잠금장치, 트렁크, 선루프, 와이퍼)

4) 안전(Safety) (에어백, 충돌방지, 공기압 경고, 야간 시계 확보, 기타 ADAS)

5) 인포테인먼트(Driver Info.)(CID, Cluster, Audio, Video, Navigation, Telematics, V2X)



자동차 시스템 별 ECU 시장 전망 및 시장 규모
[이베스트증권 남대종, 김광수, 이안나] 모빌아이가 불러올 미래 [2022.05.25]

북미지역 중심의 에너지용강관 시장 호황으로 국내업체 수혜

미국의 에너지용강관 공급부족은 곧 한국산 제품의 수출 회복으로 이어졌는데 올해 1분기 한국의 에너지용강관 판매량은 전년동기대비 30% 급증한 24.3만톤을 기록했고 그 가운데 수출이 31.8% 급증한 23.4만톤 수준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나 고무적인 것은 1분기 국내와 미국의 열연 내수가격이 모두 하락했음에도 불구, 미국내 에너지용강관 및 한국의 수출가격 모두 상승했다는 점이다. 그만큼 미국의 에너지용강관 수급이 타이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금융투자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하반기 WTI는 배럴당 90~130불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미국의 러시아산 강관 수출 재개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으로 한동안 북미 지역의 에너지용강관 수급은 지속적으로 타이트할 전망이다. 미국의 주요 에너지용강관 업체들은 이미 올해 4분기 수주까지 상당부분 진행한 상황으로 그만큼 수요가 견조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에너지가격 상승과 유럽 및 미국의 러시아산 에너지 배제 정책으로 LNG 수요가 급격하게 확대하며 이들 지역의 LNG 터미널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LNG터미널용 국내 강관 제품 수출 확대도 기대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대로 미국과 유럽의 철강 수입 규제 완화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산 에너지용강관 쿼터에 대한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미지역 중심의 에너지용강관 시장 호황으로 국내업체 수혜
[하나금융투자 박성봉] 철강금속 : 유럽발 인플레이션 지속과 중국의 바닥확인 [2022.05.24]

효성첨단소재: 독보적인 타이어코드 경쟁력을 바탕으로 슈퍼섬유에 투자 확대

효성첨단소재는 PET 타이어코드, 나일론 타이어코드, 스틸코드 및 비드와이어까지 4대 타이어 보강재를 모두 공급하는 전 세계 유일의 기업이다. 그룹사 내 수직 계열화를 통해 원료를 조달하는 방식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글로벌 PET 타이어코드 시장 점유율 46%의 독보적 1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효성첨단소재는 Cash-Cow 역할을 하는 타이어코드에 기반해, 슈퍼섬유로 불리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효성첨단소재는 현재 4,000톤 규모의 탄소섬유 생산능력을 3분기 중 6,500톤, 2023년 4월에는 9,000톤, 궁극적으로 2028년까지 24,000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라미드 생산능력은 현재 3,700톤에서 2023년 하반기 중 5,000톤으로 확대할 전망이다. 탄소섬유는 낚싯대, 스포츠용품 등 저부가가치 제품에서 수소탱크와 같이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적용처가 확대되었고, 한화솔루션과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해 안정적인 매출처를 확보했다. 2021년 기준 약 3%인 슈퍼섬유 매출액 비중은 2023년에는 약 9%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며, 증설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를 고려하면 영업이익 기여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효성첨단소재: 독보적인 타이어코드 경쟁력을 바탕으로 슈퍼섬유에 투자 확대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엇갈린 명암, 그래도 투자기회는 있다. [2022.05.24]

글로벌 에틸렌 생산능력 및 수요 증가량 추이 / 에틸렌 증설 물량 중 중국의 비중

중국이 주도하는 증설로 인해 공급 과잉 심화될 전망


2021년 말 기준 글로벌 에틸렌 생산능력은 2억550만톤으로 추정된다. 2022년 글로벌 에틸렌 증설 물량은 1,294만톤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현존하는 설비의 약 6.3%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중국의 에틸렌 증설 물량은 2022년 703만톤, 2023년 550만톤으로 각각 글로벌 총 증설량의 54%와 59%를 차지할 전망이다. 중국은 경제 성장에 발맞춰 대규모 석유화학 설비를 확장해왔다. 앞으로도 중국이 에틸렌 증설을 주도할 예정이다. 2022년, 2023년 글로벌 에틸렌 생산능력은 각각 전년 대비 6.3%, 4.2% 증가하며 공급 과잉이 지속될 전망이다.


기초 원료인 에틸렌과 더불어 Downstream의 대부분 제품 증설 물량 역시 대규모로 계획되어 있다. 적극적인 수요의 개선이 나타나지 않는 이상 범용성 제품들의 공급 과잉은 지속될 전망이다



글로벌 에틸렌 생산능력 및 수요 증가량 추이 / 에틸렌 증설 물량 중 중국의 비중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엇갈린 명암, 그래도 투자기회는 있다. [2022.05.24]




한국의 PE, PP 국가별 수출 비중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엇갈린 명암, 그래도 투자기회는 있다. [2022.05.24]


글로벌 GDP 성장률 및 에틸렌 수요 성장률 추이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엇갈린 명암, 그래도 투자기회는 있다. [2022.05.24]




플라스틱, 포장재 사용 제품과 합성수지의 종류 / 석유화학 산업의 제품 흐름도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엇갈린 명암, 그래도 투자기회는 있다. [2022.05.24]




석유화학산업 규모를 대표하는 에틸렌 생산능력 / 원료별 석유화학 생산설비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엇갈린 명암, 그래도 투자기회는 있다. [2022.05.24]

유가의 하락에도 정유사 주가 상승이 기대되는 이유

정유사에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석유 제품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유가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이다. ‘Positive Lagging Effect’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가 상승기에는 제품 가격도 상승해 ASP가 증가하는 반면, 원가를 인식할 때는 현재 유가가 아니라 원유 도입 시점의 낮은 유가가 반영되면서 정제마진이 확대된다. 또한, 유가 상승에 따른 재고평가이익도 발생하면서 가파른 실적 개선이 나타난다. 2016~2017년이 이에 해당한다. 2017년 말 기준 S-Oil과 SK이노베이션의 주가는 2016년 말 대비 각각 38%, 40% 상승했다. 반대로 유가가 하락하는 경우에는 ‘Negative Lagging Effect’가 발생한다. 유가 하락으로 제품 가격도 하락해 ASP가 낮아지고, 원유 도입 시점의 높은 유가가 원가 인식 시 반영되면서 정제마진이 축소된다.


향후 공급 측 이슈 완화로 인한 유가의 하향 안정화를 전망하나, 정제마진 강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현재 석유제품 가격은 타이트해진 공급 상황으로 인해 높아진 유가를 온전히 흡수할 수 있을 만큼 견조하며, 정제마진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정제마진은 안정화되겠으나 낮은 석유제품의 재고 수준은 석유제품 가격 하단을 지지할 것이며, 향후 항공유를 중심으로 수요 증가 여력이 충분하다. 정제마진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며, 실적 강세에 따른 정유 기업 주가 상승 모멘텀은 여전하다고 판단한다.





유가의 하락에도 정유사 주가 상승이 기대되는 이유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엇갈린 명암, 그래도 투자기회는 있다. [2022.05.24]




자동차 산업 핵심 변수 P/Q/C - C : 변동비 VS 고정비
[신한금융투자 정용진] 자동차 : 변수를 바꾸면 보이는 찬스 [2022.05.24]


자동차 산업 핵심 변수 P/Q/C - Q : 공급 정상화보다 수요 둔화에 쏠린 시선들
[신한금융투자 정용진] 자동차 : 변수를 바꾸면 보이는 찬스 [2022.05.24]




자동차 산업 핵심 변수 P/Q/C - P : 인센티브 경쟁 종료, 이제는 MSRP 상승으로 전환
[신한금융투자 정용진] 자동차 : 변수를 바꾸면 보이는 찬스 [2022.05.24]

미국 현지 동반 진출 상장 부품사

 내장 샤시 라이팅 업체의 수혜 기대 : 국내 주요 부품사 중 현대모비스 한온시스템 만도가 현지 생산 법인을 통해 현대차 기아 미국 법인을 지원 하고 있음 전기차 핵심 부품 공급을 통한 수혜를 기대됨 한편 전기차는 높은 평균 판매 가격과 넓은 실내 공간을 가지고 있어 내연기관차 대비 내장재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추세 현대차는 움직이는 응접실 을 컨셉으로 한 내부 디자인 컨셉을 선보인 바 있음


 자동차의 뼈대에 해당하는 샤시 부품은 내연기관차 대비 무거운 전기차의 무거운 중량을 잘 버틸 수 있으면서 긴 주행 거리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경량화 성능까지 만족시켜야 함 기술적인 요구도 높아짐에 따라 부가가치도 동반 상승하고 있음.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미래 지향적인 디자인을 잘 구현할 수 있는 LED 라이팅 장착률 역시 상승 추세임 현지 동반 진출 기업 중 서연이화 에스엘 화신 등 내 외장재 기업의 수혜폭도 클 것으로 기대됨



미국 현지 동반 진출 상장 부품사
[유진투자증권 이재일] 현대차그룹, 다시 쓰는 미국 성장 스토리 [2022.05.24]


미국 주요 로봇 기업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로봇:현재가 된 미래 [2022.05.23]
    • «
    • <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
    • »

‹ › ×
    webnuri7@gmail.com Moabb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