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봐
모아봐
  • 커뮤니티
    • 전체
    • 클리앙
    • 82cook
    • 오유
    • 뽐뿌
    • etoland
    • 웃대
    • 개드립
    • 보배
    • 딴지
    • 엠팍
    • 루리웹
    • 가생이
  • SCRAP
  • 주식/부동산
  • 실적정보
  • 목표가 상향/하향 종목
  • 기업별 수주잔고
  • 종목 반등강도
  • 경제캘린더
  • 가격/정보
    • 국가통계포털
    • 원자재가격정보
    • 광물가격
    • 곡물가격동향
    • 국제곡물정보
    • 관광입국/출국자수
    • 제주관광통계
    • 폐지골판지가격
    • 제지산업월별수급
    • 열연가격
    • 조강생산량
    • 탱커운임지수
    • 건설경기지표
    • 유튜브순위
  • 환율차트
    • 달러인덱스
    • OITP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화
    • 달러/위안
    • 달러/원
  • 상품시장
    • 금
    • 은
    • 구리
    • 원유(WTI)
    • 정제마진
    • DRAMexchange
    • 폴리실리콘
  • 시장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탐욕지수
    • CDS프리미엄
    • 미국장단기금리차
    • 미국은행 예금잔액/대출잔액
    • 하이일드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미국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GDP-Based Recession Indicator Index
  • 세계금리
    • 미국10년채권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독일10년채권
    • 일본10년채권
    • 한국3년 채권수익률
    • 세계국채수익률
    • 국가별기준금리
    • 미국정크본드 ETF
  • 참고경제지표
    • BDI 지수(발틱운임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
    • 국가별신용등급
    • 달러인덱스와 중국 외환보유고(금 제외)
  • 미국경제지표
    • M1통화
    • M2통화
    • 미국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기업이익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기업재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실업률
    • 생산자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 상승률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 미국 원유 생산량
  • 중국경제지표
    • 중국M1통화
    • 중국M2통화
    • 중국 인플레이션
    • 중국 차이신PMI
    • 중국 제조업PMI
    • 중국 생산자가격
    • 중국 주택지수
    • 중국 GDP대비 정부부채
  • 한국경제지표
    • 한국M1통화
    • 한국 인플레이션
    • 한국 수출증가율
    • 한국 주택가격지수
    • 한국/미국 대형주지수 상대강도
    • 국가별수출
    • 한국 GDP대비 정부부채
    홈 커뮤니티 주식 실적정보 밸류체인 수주잔고 부동산

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플랫폼별 전 세계 게임 시장 규모, 콘솔게임 시장 비중

전 세계 콘솔/PC 게임 시장은 약 145조원 규모로 모바일 게임 시장과 비슷한 규모이다.

​

2013년부터 모바일 게임 위주로 성장 중인 한국, 중국과 달리 전 세계 콘솔 게임 시장의 약 84%를 차지하는 북미, 유럽의 콘솔 및 PC 게임 시장은 그동안 꾸준히 높은 성장을 해왔고, 향후에도 높은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북미와 유럽의 콘솔 게임 시장은 하드웨어를 제외한 게임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만 각각 약 65조원, 35조원 규모로 2016년부터 연평균(CAGR) 각각 15%, 8%씩 성장을 해왔고, 2026년까지 매년 각각 10%, 8%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

북미 및 유럽의 PC 게임 시장도 각각 7.6조원, 8.3조원의 규모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CAGR) 각각 8%, 3%씩 성장을 해왔고, 2023년까지 매년 각각 9%, 5%의 성장이 예상된다.



플랫폼별 전 세계 게임 시장 규모, 콘솔게임 시장 비중
[유안타 증권 - 이창영] K게임, 찐 K 컨텐츠 [2022.09.26]

국내 게임사 PC 및 콘솔 게임 출시 계획

한국형 P2W 모델은 다시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 확대로 잠시 성장을 이어갔지만

(1) 세계 최대게임 시장인 중국의 판호를 통한 신규 출시 규제

(2) 국내 시장 포화 및 경쟁 심화

(3) P2W 이아닌 게임의 국내외 흥행 등으로 한국형 P2W 모델은 사실상 성장이 어려워지게 되었고 ,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새로이 북미 유럽을 주요 타겟으로 하는 PC 및 콘솔 게임 시장 진출에 개발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게임사 PC 및 콘솔 게임 출시 계획
[유안타 증권 - 이창영] K게임, 찐 K 컨텐츠 [2022.09.26]

라이다 상용화 현황 / 라이다 기술 분류 및 주요 글로벌 업체

현재 대다수 자율주행 차량은 회전형(Mechanical)라이다 제품을 위주로 상용화 진행중 이나 점진적으로 고정형(Solid State) 제품 역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로보택시(GM크루즈)와 같이 B2B 시장 중심으로 성장중인 라이다 시장이 2023년 이후부터는 소비자용 매스(Mass) 마켓 진입이 가시화되는 만큼 본격적인 성장을 예상한다. (2023년 루미나가 벤츠와 볼보에 양산 제품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


2022년 기준 업계에서 소비자용 단일 자동차 업체/제품향 라이다를 가장 많이 양산한 업체는 유럽의 Valeo이다. 주요 고객은 벤츠, 아우디, 현대차(제네시스)로서 대부분 옵션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채택율은 10% 미만으로 파악된다. (벤츠는 현재 일부 차량에 Premium ADAS 형태로 옵션을 제공중이며 가격은 대략 600만원 수준으로 파악)





라이다 상용화 현황 / 라이다 기술 분류 및 주요 글로벌 업체
[이베스트증권 김광수] 자율주행 시대 [2022.09.22]

OLED TFT별 특성 비교

  •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중소형 OLED 패널은 FMM(Fine Metal Mask, 미세 금속 마스크 를 사용하여 유기발광물질 R/G/B) 을 각각의 픽셀에 패터닝하여 서브픽셀을 형성하는 RGB 방식을 채택하고 있 으며 최근 주요 기술변화는 TFT( Th in Flim Transistor : 박막필름트렌지스터 2 소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중소형 OLED 패널의 TFT 는 a Si( 비결정질 실리콘 TFT 에서 LTPS( 다결정 실리콘 TFT 로 발전 해왔으며 , 최근에는 Oxide 산화물 TFT 와 LTPS TFT 를 결합한 LTPO TFT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 LTPO TFT 는 스위칭 TFT로 낮은 누설 전류를 갖는 Oxide 를 사용하고 구동 TFT 는 빠른 전자 이동도를 갖는 LTPS 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높은 기술 난이도와 낮은 수율 문제로 인해 주로 고가의 스마트폰 이나 스마트워치 에 사용된다.

  • IT 기기 노트북 태블릿 등 용 OLED 패널의 경우 모바일용에 비해 높은 밝기에서 비교적 장시간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고 고정된 화면들이 많기 때문에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2 Stack tandem 구조를 채용하는 방식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 2 Stack tandem 구조 는 R /G/B 소자의 발광층을 두 겹 (2 Stack) 으로 적용하는 방식으로 , 기존 방식에 비해 밝기와 패널 수명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 가 존재한다.

  • TV용 OLED 패널 은 LTPS TFT 대신 소비전력이 낮고 대형화가 가능한 Oxide TFT 를 사용하고 있다.

  • RGB 방식에서 사용되는 FMM쳐짐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이 시도되고 있다.



OLED TFT별 특성 비교
[나이스신용평가 안수진] OLED 디스플레이 시장 현황 및 전망 [2022.09.21]




돌아올 중국 VIP 는 회복 시점과 카지노 운영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봐야
[키움증권 이남수, 이원주, 박주영] 글로벌 카지노 VIP대목이 온다. [2022.09.21]

마카오 카지노 산업

동남아시아 시장의 카지노 수요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마카오 카지노 산업도 중국의 자국 내 여행시장의 점진적인 회복과 함께 3분기를 기점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19년 기준 전체 여행객의 90%가 중국본토 및 홍콩/대만 여행객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회복의 탄력성은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중국정부의 공동부유 정책 기조 하에서 중개인 업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시대에서도 VIP 사업은 과거 수준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Mass 시장 중심으로 마카오 카지노 산업은 성장할 전망이다.


높은 회복 탄력성에도 불구하고 마카오 카지노 산업은 ‘제로코로나’가 상단을 제한하고 있다. 정책 완화 기대감은 갈수록 커져가고 있으나 구체적인 시점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단기적으로 변동성은 확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 법안 수정을 통해 최대 6개 카지노 라이선스 발급을 확정한 상황에서 기존 6개 기업 이외에 말레이시아의 겐팅그룹이 입찰에 참여했다. 연말 최종 발표를 앞두고 유의가 필요하다.


업체별로는 Mass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한 샌즈차이나, 동남아시아 리오프닝 및 외혀확장 수혜가 기대되는 Melco, 카지노 업체 중 유이하게 증설 모멘텀 보유한 갤럭시엔터가 상대적으로 투자매력이 높다는 판단이다







마카오 카지노 산업
[키움증권 이남수, 이원주, 박주영] 글로벌 카지노 VIP대목이 온다. [2022.09.21]

마카오 카지노 업황 및 중국 확진자 수 월별 추이

마카오, 제로코로나 정책이 회복의 최대 걸림돌 


예상 대비 완화된 수정안 발표는 긍정적이나, 중국정부가 제로코로나 정책을 유지하면서 마카오 카지노 산업은 더딘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분기 중국 내륙지역에 이어서 마카오도 코로나19가 확산되며 방역 정책이 재차 강화됐다. 7~8월 마카오 카지노 GGR은 2019년의 2%, 9%까지 축소되며 2020년 이후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마카오 카지노 라이선스를 보유한 6개 기업의 과거 실적 추이를 보면 마카오의 분기 방문객 수가 180만명 이상을 유지해야 적자(조정 EBITDA 기준)를 피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7월 방문객 수가 1만명에 불과한 만큼 3분기 실적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다행히 8월 2일부터 마카오 지역의 코로나19 사태가 안정기에 돌입하며 본토와의 이동제한이 완화됐으며, 3분기를 기점으로 마카오 카지노 산업은 회복할 것으로 예상한다.


마카오 카지노 시장과 대조되게 동남아시아 시장은 리오프닝 효과가 2분기에 나타났다. 2Q22 싱가포르, 필리핀, 캄보디아의 해외 여행객 수는 2019년 대비 20~30% 회복했으며, 카지노 GGR도 크게 반등했다. 그 중 Mass 매출의 경우 3개 국가 모두 2019년의 70~90%까지 회복했으며, VIP 매출은 상대적으로 인프라 경쟁력을 보유한 싱가포르가 2019년 수준을 넘어섰다.


싱가포르: 2분기 싱가포르는 카지노 GGR이 2019년 수준을 넘어섰다(마리나 베이샌즈 기준). 전체 카지노 GGR은 6억달러(회복률 103%), 그 중 VIP 매출은 2.3억 달러(129%), Mass 매출은 3.9억달러(92%)를 기록했다. 동기간 해외여행객 수는 126만명으로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 높은 여행객 수 회복률(27%)을 보였으며,특히 상대적으로 우수한 인프라 시설이 카지노 VIP의 발길을 잡았다는 판단이다.










마카오 카지노 업황 및 중국 확진자 수 월별 추이
[키움증권 이남수, 이원주, 박주영] 글로벌 카지노 VIP대목이 온다. [2022.09.21]


전해액은 법안의 수혜주가 되기 어려운가?
[삼성증권 장정훈] 2차전지 : 인플레이션 감축법안 일문일답 세 번째 [2022.09.21]

ODM시장을 주도하는 건 CJ그룹

결론적으로 …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쟁력 모색이 필요 


CJ제일제당은 브랜드 경쟁력을 더욱 확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한다. 구매 및 제조라인에 집중되어 있는 역량을 브랜드 및 영업망 관리를 통해 점유율 확대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제조라인에 대한 전체적인 통합을 이룬다는 의미는 아니다. B2C와 B2B에 해당되는 제품군을 중심으로 통합할 가능성이 높으며, CJ제일제당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 경쟁력을 기반으로 생산라인에 있어 효율적인 구조를 구축할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렇다고 해서 CJ제일제당이 브랜드 경쟁력과 상품개발 능력이 뛰어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아니 식품제조사에서 이미 월등한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당사에서 이러한 전략적 변화를 전망하는 이유는 1) 주요 유통업체 제조설비 구축에 따라 상품경쟁력이 더욱 중요시 될 가능성이 높고, 2) 가성비 소비 확산에 따라 원가 경쟁력 확보가 더욱 중요하며, 3) 장기적으로 점유율 확대를 위해 영업망 강화에 더욱 집중할 필요성이 있다는 환경적 변화를 예상하기 때문이다







ODM시장을 주도하는 건 CJ그룹
[IBK투자증권 남성현] 유통 : 식품 ODM [2022.09.21]




ODM 시장의 발전 배경
[IBK투자증권 남성현] 유통 : 식품 ODM [2022.09.21]




OEM과 ODM의 차이
[IBK투자증권 남성현] 유통 : 식품 ODM [2022.09.21]

식품 ODM 생산방식의 비중 확대

더 나아가 , 단체급식의 경우에도 이러한 제품군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 인건비 상승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원팩 제품군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 특히, 중장기적으로 생산가능인구 감소 이에 따른 식수 감소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관련 제품군 비중을 늘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당사는 ODM 시장 성장을 이끄는 주체를 CJ 그룹에 주목하고 있다. 그 이유는 1) HMR 상품군 브랜딩을 지속하고 있고 , 2) OEM 및 ODM 형태를 이미 구축하였으며, 3) B2C 와 B2B 상품군을 공급할 수 있는 채널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 또한 비상장사로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키친인더랩에 주목한다. 현재 ▶자체적 제조라인 구축, ▶쉐프기반 R&D 경쟁력 , ▶육가공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식품 ODM 생산방식의 비중 확대
[IBK투자증권 남성현] 유통 : 식품 ODM [2022.09.21]

현대로템 주가 추이와 주요 이벤트

- 동사는 1999년 IMF 외환위기 수습 과정에서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의 철도차량 생산부문이 통합되며 출범했다. 국내 열차 제조 분야를 모두 통합했다.

- 철도사업에서는 국내 전동차에서만 일부 경쟁자가 있지만 KTX, SRT, GTX 같은 고속철은 사실상 독점적인 사업자이다.

- 방산은 K2 전차와 차륜형장갑차, 웨어러블로봇 등을 생산한다. 에코플랜트는 제철, 자동차 등 그룹 계열사의 공장 설비투자에서 일정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 8/29 폴란드 K2전차 공급 사업과 관련 4.5조원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종료일은 2027년까지이며 실질적인 납품은 2025년에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 K2전차 1,000대 수출 기본계약의 실행계약으로 1차 인도분 180대에 대한 계약이다. 조만간 2차분의 계약 체결도 예상된다.

- 이번 계약을 통해 당장 2023년 실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폴란드의 K2전차 채택은 빠른 납기가 영향을 줬기 때문이다.

- 동사는 풍부한 국내 납품 경험을 바탕으로 충분한 CAPA를 보유하고 있다. 이외 마진이 좋을 것으로 기대되며 후속 국가들의 수주도 이어질 전망이다

- 그동안 철도부문에 한정된 성장으로 주가가 정체를 보여왔다. 방산 부문의 수출 성장으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되었다.



현대로템 주가 추이와 주요 이벤트
[신한금융투자 이동헌, 명지운] K-방산, 분단 70년의 고진감래 [2022.09.21]

한화시스템 주가 추이와 주요 이벤트

- 방산과 ICT가 통합되며 2019년 상장했고 방산은 C4I, 방공, 지휘통제체계, 종합군수지원 등의 영역, ICT는 금융, 제조, 건설,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의 IT서비스를 제공한다.

- 현재까지 미국 UAM업체 오버에어, 영국 인공위성 서비스업체 원웹, 인공위성 안테나 업체 미국의 카이메타, 영국의 한화페이저, 블록체인 사업 등에 투자해왔다

- 인공위성-안테나-UAM으로 이어지는 미래 도심항공 모빌리티를 통한 엄청난 성장 가능성이 숨겨져 있다.

- 동사는 지난 1/17 UAE 천궁 사업에서 다기능레이더 1.3조원 수주에 성공했다. K-9 자주포에도 사격통제장비 및 다수의 부품이 들어간다.

- AESA 레이다의 국산화에도 성공했다. 5월 이탈리아 레오나르도, 6월 폴란드 WB그룹와 각각 MOU를 맺었다.

- 당장은 실적 정체가 아쉽지만 동사는 국내에서 가장 가시성 높은 UAM 사업자로 개화할 신사업에 투자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



한화시스템 주가 추이와 주요 이벤트
[신한금융투자 이동헌, 명지운] K-방산, 분단 70년의 고진감래 [2022.09.21]
    • «
    • <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
    • »

‹ › ×
    webnuri7@gmail.com Moabbs 2018